농업관련자료(시설외)

관수시설(관비,양액,클러,기타..)자재 선택요령

농촌사랑 2012. 8. 28. 22:25

1. 기계(동력시비기: 양액공급기)

 회사마다 종류가 다양합니다.

보통 시판가격이 400~1,000만원정도  이지만 가격보다는 제품의 특징을 잘 확인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인 기계는 EC,PH는 필수이며,혼합탱크방식이 주로 많이 사용되며 직접 공급방식도 있습니다.

여기에 광센서,유량계,수분센서  기타 등등... 옵션과 기본 추가에 따라 금액이 달라 집니다.

또한 펌프가 국산 일반펌프, 횡형 다단펌프,입형펌프등이 있으며 가격에 따라 다른 펌프가 부착됩니다.

특히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릴리프 밸브는 고가의  제품에만 기본으로 부착하는 경우가 많으며,대부분 수동 밸브를 부착하기도 합니다.

제가 권하는 제품사양은 이렇 습니다.(대략 750~900만원정도)

 펌  프 : 횡형 다단(본인 구획에 맞는 용량으로: 업체에서 알려줌)

 센서류: 유량계는 있으면 좋구요 일일 공급횟수가 많은분은 광 센서가 있는것이 좋습니다.

 배  관 : 어쩔수 없이 수입 나사부속이 안전합니다. 릴리프 밸브는 기본으로 부착 되어야 합니다.(산을 사용시응 PVC계통의 부속 필히 사용.

 프로그램: 하루 관수횟수가 무제한 가능하고, 문제 발생시 경보기능 필수,관수 기록(공급량,횟수,공급ec,ph,센서값등)이 usb로 저장하여 나중에 컴에 저장하여 일지로 볼수 있는것과 배액을 확인 가능한 프로그램 이라면 금상첨화죠.

 

 

2.근권 난방용,원수 가온용 보일러(제가 권하는것은 기름 보일러 이므로 보일러 위주로..)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하는것은 유류용 보일러가 최고(기름값이 좀 들지만 편리성 안정성에서 최고)

 히타봉등은 화재우려와 온수 순환시 온도를 제대로 잡아주지 못하는게  흠입니다.(전기용량이 크면 초기 투자비 큼)

 보일러의 용량은 원수탱크 용량과 하우스 규모에 따라 용량을 선택합니다(한치수 높은것이 유리): 5~10동에 5톤 탱크면 20만kcal/h 정도면 가능

전 귀뚜라미 보다는 경동 보일러가 좋더군요 비용차이가 별로 없으므로 스텐 보일러로 사용하는것이 녹이 없네요.

원수탱크를 직접 가온하여 관수시 30~35도로 데워서 관수(관수시 실 온도는 점적으로는 18도내외가 됨) 야간에는 이 물을 지온가온으로 순환 : 1석2조에 추가하여 냉방시 보일러만 끄면 지하수가 지중 냉방가능 1석3조!!!!!

 

 

3.배관자재(관수/온수순환용 메인)

 배관은 한번하면 거의 수정하지않고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돈이 들더라도 처음부터 좋은것으로 사용(신재원료,구KS규격품)

배관부속은 원리를 잘 생각해보면 그부품이 좋은지 아닌지 알수 있습니다(시간이 지나면 문제점이 나올걸 미리 알수 있슴)

 

 

4.재배용 배드(스치로폼 배드)

 천막지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으나 여러면에서 스치로폼 배드가 유리함.(잘못 시설하고 나쁘다는 지역도 있더군요)

 일단 설치가 편하고 단열 보온이 유리하고 초기 비용도 설치비를 감안하면 그리 차이가 크지 않음.

 배드의 규격은 작물 선택에 따라 다르지만 작물의 뿌리를 기준으로 잡으면 제일 적당함(예를들면 오이,토마도는 깊이가 깊은것,상추류는 조금 낮아도 무방)

어느 작물이든 20Cm폭이면 재배가 가능합니다 깊이는 위에서 말한것과 배수 속도에 따라 달리 적용.

 

 5.지중 냉 난방용 호스

 9, 12, 15mm등 다양하지만 전 15mm를 권장합니다.(순환 속도와 면적에서 실제 차이가 너무 크거든요)

 호스는 지온호스(재생),엑셀원료인 MD호스, 일반신재원료의 PE호스로 나누어 집니다.

 다 같은것으로 오해를 많이 하는데 열 전달과 신축성에서 차이가 많이 있더군요.

신축성이 거의 없고, 열 전도율이 좋은것은 MD호스입니다(MD호스는 엑셀과 같으나 흑색으로 생산하여 백색 엑셀의 단점이 보완된 것입니다)

연결부속도 동제품 보다 저렴하면서 부식성이 없고 설치가 간편한 부속을 사용하는것이 좋은것 같구요..

 

 

6.방근지(배수용/뿌리 내림 방지용)

 예전엔 다우다 천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pet부직포를 많이 사용 합니다.

천은 일정 시간이 흐르면 배수성이 너무 떨어 지는것이 흠이라서...

pet부직포 중에는 압착이 너무 심하여 배수가 부분적으로 안되는 제품도 있으니 잘 확인하셔야 낭패를 당하지 않습니다.

 

 

7. 점적호스와 양액재배용 배지

  최고의 점적호스는? : 전,후 편차가 어떠한 조건에서든 최소인것

                               점적기당 유량은 최대한 적게 나와서 인위적인 시간 조절을 짧게 조절이 가능한것

                               다소 압력이 높더라도 수압에 파손되지 않을것

물이 잘 나온다고 좋은것이 아닙니다 고르게 잘나오면 최고라 하겠지만.....

사용자의 용도나 실정에 맞아야 좋은것 입니다(업체의 설명이 중요하죠 여러가지 제품의 장,단점을 다 설명받은후 맞는것을 선택하세요) 

 

최상의 배지는? : 전 배지의 균일성(코코를 많이 사용하지만 자연물이라 균일성은 다소 미흡),배수성(급수는 자동으로 얼마든 공급이 가능하므로 배수는 잘될수록 유리)

                        일정한 합수량과 공극(위의 균일성과 동일한 내용...ㅎ)

배지는 작물별로 특징이 있으므로 그 특징을 살려서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수분이 다소 많아도 문제가 없는 작물과 많으면 문제가 되는 작물, 수분이 많튼 적든 공극이 어느정도는 확보가 되어 있어야...ㅋㅋ

 

'농업관련자료(시설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트모스 사용방법  (0) 2013.10.18
딸기고설재배 시설  (0) 2013.06.13
양액시설 설치과정  (0) 2012.08.11
딸기 2단재배 수확/재배 포장 전경  (0) 2012.01.21
상추양액재배  (0) 201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