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회사라도 저가의 복합비료가 있는이유...
1. 질소-인산-가리-마그네슘의 함량이 적다.
2. 같은 양을 녹였을때 농도(EC)는 저가용이 더 높다
(이유가 황이 많이 들어서...)
3. 저가중에 더 싼것은 질소의 형태가 NO3,NH4외에 요소태가 많은경우...
이런 저가복비는 토양의 산성화를 가져올수 있으리라 판단됨
복합비료는 단비(양액용비료)를 혼합하여 만드는 것이므로 결코 단비보다 좋은것은 아님(농약사나 복합비료를 파는 사람들이 단비가 나쁘다고 하는것은 그 업자가 비료를 제대로 모르는것으로 판단 하여도 됨.
'농업관련자료(시설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액재배에서 C탱크와 산(알칼리) 탱크의 필요성 (0) | 2016.01.29 |
---|---|
배지(또는 토양)의 PH를 낮추는 방법 (0) | 2016.01.29 |
속효성 복합비료 구입요령 (0) | 2015.01.12 |
양액재배에서 공급EC와 배액 EC 맞추는 요령 (0) | 2015.01.12 |
피트모스관련 질문과 답변들 (0) | 2013.10.18 |